SK 유스로거 컨텐츠 작성을 위하여 울산CLX와 울상대공원 견학을 나섰다. 공장이 있는 울산을 향해서 SK에너지에서 마련해준 항공편과 버스를 타고 견학을 다녀올 수 있었다.
SK에너지에서 마련해주신 버스~
버스에도 SK 에너지로고가 박혀있다.
미래 성장동력을 발굴·추진하는 SK이노베이션, 석유사업을 담당하는 SK에너지, 화학사업을 담당하는 SK종합화학, 윤활유사업을 맡고 있는 SK루브리컨츠의 4사 독자경영체제로 운영하고 있다.
브리핑룸에서 SK에너지에 대한 소개를 들을 수 있었다.
SK이노베이션을 필두로 한 SK의 석유화학사업은 울산CLX(컴플렉스)에 집약돼 있다. 울산CLX에서는 해외에서 들여온 원유를 정제하여 나온 휘발유나, 등•경유 등 석유제품뿐만 아니라 윤활유, 잉크, 아스팔트, 폴리프로필렌 등을 포함한 총 680종의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전체 면적의 경우 826만㎡(약 250만평)로, 8개 부두를 비롯한 정유, 석유화학, 필름, 원사, 섬유, 봉제 등 크고 작은 유관시설을 한꺼번에 집적시킨 곳이다. ‘현대(現代)의 도시’로 알려진 울산이지만 현대차 울산공장(520만㎡)과 현대중공업(5940㎡)의 면적을 합쳐도 SK 울산CLX에 미치지 못한다.
사업별로 계열을 분리한 SK이노베이션이 100% 지분을 보유한 3개 자회사가 각각의 수출 실적을 바탕으로 총 270억불 규모의 ‘수출의 탑’ 을 수상했다.석유사업의 SK에너지가 200억불 탑, 석유화학사업의 SK종합화학이 60억불 탑, 윤활유 사업의 SK루브리컨츠가 10억불 탑에 나란히 이름을 올려 대한민국 수출을 견인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SK와 SK에너지의 역사를 간략하게 살펴볼 수 있는 전시물이 마련되어 있었다.
SK의 계열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공장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들은 뒤에 전체적인 공장을 견학할 수 있었다. 다만 공장 내부에 대해서는 사진촬영이 금지되어있었기 때문에 사진으로 남길수는 없었고, 눈으로 보고 기억으로 남겨본다.
울산CLX의 4개 계열사 근로자 수는 모두 합쳐봐야 2900명가량이 전부다. 기술이나 설비, 스텝 등 생산지원활동을 하는 부서 근로자를 제외하면 생산근로자는 1400명 정도다. 이들 역시 4조 3교대로 근무하기 때문에 특정 시점에 현장에서 생산활동을 하는 근로자는 300명이 조금 넘는다. 1만평당 현재 일하고 있는 생산근로자 수를 계산하면 겨우 1.4명에 불과하다.
전체 면적이 여의도의 세 배나 되는데, 이렇게 적은 인원으로 운영이 가능한 해답은 IT 자동화 시스템에 있다. SK 울산CLX 내 거의 모든 공장에서 SK C&C의 시스템통합(S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자동화 시스템이 구축되어 적은 인원으로도 넓은 공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고 한다.
공장을 전부 둘러본 뒤에는 울산대공원으로 향했다. SK에너지와 울산대공원이 무슨 연관인가 싶기도 하지만, 울산대공원은 SK에서 기업이윤의 사회환원과 지역사회에 대한 보답 차원으로 2005년 울산시 남구에 울산대공원을 완공하여 시에 무상으로 기증한 공간이다. 10년간 1020억원을 들여 364만㎡ (약 110만 평)에 해당하는 넓은 공원을 조성했으며, 장미원, 수영장, 분수, 나비관, 에너지관 등 대공원 내 다양한 시설물로 갖추어져 있다.
울산대공원에 도착하여 먼저 향한 곳은 환경에너지관이다. 환경에너지관이라는 이름답게 태양광판이 펼쳐져 있었다.
환경에너지관에서는 곳곳에 설치된 모형과 사진을 통해서 환경 오염의 위험성과 친환경 에너지 개발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었다.
에너지의 역사와 뗄레야 뗄수 없는 원유 생성의 역사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향한 곳은 나비원이다.
나비원에서는 살아서 움직이는 나비와 곤충들이 더욱더 풍성한 볼거리를 제공해 주고 있었다.
울산대공원 장미로도 유명한데, 울산광역시 대표 꽃인 ‘장미’를 모티브로, 매년 5월 울산대공원 장미원에서 아름다운 장미와 함께 각양각색의 행사를 즐기실 수 있다. 아쉽게도 겨울이라 장미를 볼 수는 없었지만 여러가지 꽃들을 만날 수 있었다.
'여행 > 대한민국R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송파 : 콘서트 : MIKA Live in Korea 2016 - Seoul (0) | 2016.02.13 |
---|---|
경기 가평 : 탑랜드, 남이섬 (0) | 2015.07.06 |
경남 진주 : 진주의 고양이들 (0) | 2014.01.23 |
제주도 ① : 김포공항, 제주공항, 선녀와 나무꾼, 다희연, 용눈이오름, 제주 유나이티드, 이중섭거리, 제주월드컵경기장 (0) | 2014.01.15 |
인천 강화도 ① : 한강, 한강아라뱃길, 초지대교, 돈대, 동막해수욕장, 장화리갯벌, 외포리 항구, 내가면 (0) | 201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