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스크랩

(19)
스크랩 The secret of wrinkling, folding, and creasing The secret of wrinkling, folding, and creasingNew research provides a general formula for understanding how layered materials form different surface patterns.David L. Chandler | MIT News Office March 9, 2015 The process of wrinkle formation is familiar to anyone who has ever sat in a bathtub a little too long. But exactly why layered materials sometimes form one kind of wrinkly pattern or anothe..
스크랩 [월드리포트] "그들은 미쳤다, 한국인들"…프랑스인 눈에 비친 한국 기업 기사 이미지확대 사진 보기삼성, 현대, LG…전세계 어디를 가도 거명된 회사의 광고판 하나쯤은 볼 수 있다. 외국 공항에서 시내로 들어가는 길에 보이는 대형 광고판 하나에 애국심이 솟는다는 분도 있다. 잘 나가는 기업 덕분에 국민은 자부심을 덤으로 얻는다. 기업을 대한민국을 알리는 민간 외교관, 홍보대사라고 부르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렇게 자랑스런 한국 기업을 비판적으로 다룬 책이 최근 프랑스에서 발간됐다. 책은 제목부터 도발적이다. “그들은 미쳤다. 한국인들” (Ils sont fous, ces Coréens!)이다. 부제는 “효율의 광란에서 보낸 10년”이다. 저자는 올해 59살의 에릭 쉬르데쥬. 그는 2003년부터 2012년까지 10년동안 LG전자의 프랑스 법인에서 일했다. 마지막에는 프랑스 법인 ..
스크랩 알츠하이머병 원인 단백질 분해하는 효소 전달물질 개발 경희대 이민재·서울대 민달희 교수팀, 프로테아좀 전달체 개발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병 등 퇴행성 신경질환 원인물질로 알려진 타우(τ)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몸 밖에서 정제해 세포에 직접 전달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 경희대 응용화학과 이민재·서울대 화학과 민달희 교수팀은 4일 제 기능을 못하거나 노화된 단백질을 제거하는 단백질분해효소 복합체(프로테아좀)를 외부에서 정제한 뒤 실리카(SiO₂) 나노입자를 이용해 세포에 직접 전달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또 이 방법으로 세포에 주입된 프로테아좀은 활성을 유지하면서 타우단백질 등 알츠하이머병 원인물질 제거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지난달 국제학술지 '네이처커뮤니케이션스'(Na..
스크랩 Noninvasive brain control New light-sensitive protein enables simpler, more powerful optogenetics Noninvasive brain controlNew light-sensitive protein enables simpler, more powerful optogenetics Anne Trafton | MIT News Office June 29, 2014 Optogenetics, a technology that allows scientists to control brain activity by shining light on neurons, relies on light-sensitive proteins that can suppress or stimulate electrical signals within cells. This technique requires a light source to be implant..
스크랩 생면부지 한국인에 신장 떼어준 미국인 '감동' 생면부지 한국인에 신장 떼어준 미국인 '감동' - 링크http://w3.sbs.co.kr/news/newsEndPage.do?news_id=N1002459104
스크랩 참고문헌목록 및 각주/미주 작성법 1. 참고문헌목록 참고문헌목록을 작성하는 별도의 규칙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관례를 따른다. 1) 단행본 (1) 저서의 경우 - 저자, , (판수), (출판지역), 출판사, 출판년도. (은 한글 워드프로세서의 겹낫표 혹은 일반적으로 쌍꺽쇠입니다.) ex) - 하병학 지음, , 철학과현실사, 2000. - 저자, 저서명, (판수), (출판지역), 출판사, 출판년도. ex) - Anthony Weston, A Rulebook for Arguments, 3th ed., Hackett, 2000. (ed.은 edition의 약자이다. 판수 명시할 경우는 ed.을 편집자를 명시할 경우에는 ed. by를 사용한다.) (2) 번역서의 경우 저서의 경우와 목록을 작성하는 방법은 동일하다. 유일한..
스크랩 과학도的 글쓰기에 대해서 1960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피터 메더워(Peter Medawar, 1915-1987)는 1963년 영국 BBC 방송의 한 강연에서 매우 논쟁적인 질문을 던졌다. “과학 논문은 조작의 산물인가?”. 메더워의 대답은 “그렇다”였다. 메더워는 과학 논문이 과학적 사실을 허위로 보고하거나 거짓 해석을 제시하지 않음에도 왜 조작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는지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과학 논문에 제시된 이야기는 과학적 발견을 일구어내는 사유 과정을 완전히 오해하게 하므로 일종의 조작이다. 과학 논문의 귀납적 형식은 폐기돼야 한다.새로운 연구 성과가 어지럽게 쏟아지는 오늘날 과학계의 현실을 생각할 때, 많은 이들은 연구의 시작에서 최종 발견으로 이어지는 실제 사유 과정을 있는 그대로 서술해야 한다는 메더워의 ..
스크랩 15세 천재 소년이 췌장암의 조기발견을 가능케 하다. 15세 천재 소년이 췌장암의 조기발견을 가능케 했다. 1997년생 잭 안드라카(Jack Andraka)는 미국 동부 메릴랜드(Maryland) 주(州) 크라운스빌(Crownsville)에 사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으로 췌장암의 바이오마커(Biomarker)인 메소텔린(Mesothelin) 검출 방법을 발명했고, 지난해 5월 열린 세계 최대의 과학경진대회 인텔 ISEF (The Intel International Science and Engineering Fair)에서 상금 75,000 달러(한화로 약 8천2백만 원)와 함께 최고상인 고든무어상(Gordon E. Moore Award)을 수상했다. 잭 안드라카는 메소텔린에 대한 항체(Antibodies)와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를 혼합..
스크랩 학계를 떠나는 한 박사과정 학생의 뜨거운 질타 이달 초, 스위스 로잔연방공대(EPFL)의 한 박사과정 학생은 졸업을 몇 달 앞둔 상황에서 학교를 그만두며 학교의 모든 연구원에게 편지를 남겼습니다. 그리고 그의 편지는 1000 번이 넘는 트위터의 RT와 13000 번의 페이스북 like 를 받았습니다. 아래는 그 편지의 요약입니다. “ 내가 박사과정을 그만두는 가장 큰 이유는, 더 이상 나는 학계가 우리 사회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있다고 믿을 수 없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오늘날의 학계는 차라리 거대한 지원금을 집어 삼키면서 무의미한 결과들만을 양산하는 진공청소기에 가깝습니다. 그리고 이 시스템은 학문의 진전보다 자신의 이력만을 신경쓰는 사람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습니다. 아래에 구체적인 학계의 문제점을 지적하기에 앞서, 나는 두 가지를 먼저 분명히 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