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겔 니코렐리스
미국 듀크대학교 신경과학과 교수 겸 신경공학센터 창립자
듀크대학교 의학대학원 신경과학과 석좌교수이자 신경생물학, 의공학, 신경심리학 교수이기도 하다. 듀크대학교 신경공학센터의 창립자이며 브라질 나타우(Natal)에 에드먼드 & 릴리 사프라 국제 신경 과학원(Edmond and Lily Safra International Institute for Neuroscience)을 세우고 연구소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또한 과학자들과 엔지니어들의 국제 컨소시엄인 ‘다시 걷기 프로젝트(Walk Again Project)’의 수장으로서 중증 마비환자들이 다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외골격 보조장치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미겔 니코렐리스 박사는 자유롭게 움직이는 동물의 뇌가 감각 및 운동 정보를 어떻게 부호화하는지를 연구하는 데에 일생을 바쳤다. 그는 인간이나 동물이 뇌-기계 인터페이스(Brain Machine Interface, BMI)를 이용해 뇌파로 신경보철 장치를 직접 작동할 수 있음을 최초로 제안하고 증명해냈다.
그의 획기적 뇌-기계 인터페이스(BMI) 연구는 중증마비, 파킨슨, 간질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법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핵심 연구 분야로 자리잡았다. 현재 미국, 유럽, 아시아와 라틴아메리카의 많은 신경과학 연구소들이 다양한 포유류의 신경계 연구에 니코렐리스 박사의 실험적 패러다임을 적용하고 있으며, 그의 연구는 컴퓨터과학, 로봇공학, 의공학을 비롯한 광범위한 분야에 영향을 끼쳤다.
니코렐리스 박사는 프랑스와 브라질 과학아카데미 회원이다. 그의 연구는 <네이처>, <사이언스>,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등의 학술지에 게재되었으며, 미국 및 해외 다양한 언론들에 대대적으로 보도된 바 있다. <뇌의 미래: 인류의 미래를 뒤바꿀 뇌과학 혁명>의 저자이기도 하다.
프랜시스코 비코
말라가 대학교(스페인) 컴퓨터과학부 인공지능학 교수 / 멜로믹스 테크놀로지 컴퓨터 과학자 및 해커
프랜시스코 비코는 스페인 말라가 대학교 컴퓨터과학부 인공지능학 교수이다.
과학자로서 그의 주된 관심은 생물학과 컴퓨터과학의 융합이다. 생명 현상에 대한 이해와 진화와 발생학의 계산주의적 요소를 구성하는 것이 그의 연구의 일부이다.
엔지니어로서 그의 목표는 컴퓨터가 보다 고차원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끄는 것이다. 고도로 복잡한 알고리즘을 통해 이를 바탕으로 컴퓨터가 사람과 대화를 나누고 음악을 만들고 사람처럼 세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컴퓨터 스스로 표현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추구하는 것이다.
생물학과 지능에 대해 설명해 내고자 하는 그의 노력이 계기가 되어 새롭고 흥미로운 기술들이 출현할 것이고, 인간 본성에 대해서도 더 나은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으로 기대된다.
로잘린드 피카드
미국 메사추세츠공대 (MIT) 미디어랩 교수 / 감성컴퓨팅리서치그룹 창립자 / 엠파티카 공동창업자 겸 수석과학자
로잘린드 W. 피카드 교수는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미디어랩 소속 감성컴퓨팅리서치그룹 창립자이자 디렉터로 미디어랩 어드밴싱 웰빙 프로젝트(Advancing Wellbeing Initiative)의 공동 디렉터를 맡고 있다. 건강 증진을 위한 웨어러블 센서 및 분석기술을 개발하는 기업 엠파티카(Empatica)와 기술을 활용해 사람의 감정을 파악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연구를 하는 어펙티바(Affectiva)를 공동 창립했다.
조지아공과대학교(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전기공학으로 학사 학위를 받았고 수석 졸업했다. 이후 MIT에서 전기공학, 컴퓨터공학 두 분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각각 모두 취득했다. AT&T 벨 연구소 기술팀으로 입사, 사회생활을 시작했으며 디지털 신호 처리에 활용되는 VLSI 칩과 영상압축에 사용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1991년 MIT 미디어 랩 교수로 임용된 이후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을 위한 수학적 텍스처 모델 설계, 포토북 시스템과 같이 자동검색이나 영상 주석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 등으로 세계적인 유명세를 얻게 되었다. 1997년에는 저서 을 출간했고, 이는 감성컴퓨팅(Affective Computing)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야가 시작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98년 설립되어 웨어러블 컴퓨팅 영역 개척에 공헌한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 산하 웨어러블 정보 시스템 기술위원회(IEEE Technical Committee on Wearable Information Systems)의 창립 멤버이기도 하다.
활발하게 연구활동을 해오며 웨어러블 센서, 비접촉식 센서, 알고리즘, 인간의 감정 정보를 감지, 인식하고 적절하게 반응하는 시스템 등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자폐증, 간질, 우울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수면 장애, 스트레스, 치매, 자율신경계 이상과 같은 질병의 치료와 인간 및 기계학습, 건강 습관 개선, 시장조사, 고객서비스, 인간과 컴퓨터간 상호작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피카드가 개발한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2005년 이미지 및 비디오 분석과 감성컴퓨팅 분야에 기여한 공로로 국제전기전자기술협회 펠로우로 위촉되었다.
지금도 업계와 활발하게 협력하고 있고 애플, AT&T, BT, HP, iRobot, 머크, 모토로라, 삼성 등 다수의 기업에 자문을 제공해왔다.
현재 남편과 세 아들과 함께 메사추세츠주 뉴튼에 거주하고 있다.
http://www.sdf.or.kr/2015/
http://www.sdf.or.kr/2015/program/mainsession.jsp?lang=kr
김상배
생체모방연구소 디렉터 /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기계공학과 교수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기계공학과의 부교수이자 생체모방 로봇 연구소의 책임자이다. 현재 기계공학과 생물학, 재료 과학의 융합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그의 디자인 접근 방식은 생물학적 조건과 공학적 조건을 균형 있게 충족시키는 복합적 생물학 시스템에 중점을 둔다.
게코 도마뱀의 형태에서 영감을 받아 세계 최초로 방향성 접착력(directional adhesive)을 이용해 매끄러운 표면을 기어오를 수 있는 스티키봇(Stickybot)을 개발하였고, 이것으로 생체모방 로봇 분야에서 성과를 거두었다. 스티키봇은 2006년 <타임>지 선정 최고의 발명품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으며, 스티키봇에 관한 논문은 IEEE(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 자동로봇 국제회의와 로봇 공학 전문 학술지인 <트랜잭션스 온 로보틱스>에서 최우수 학생 논문상을 수상하였다.
2013년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으로부터 젊은 교수상(Young Faculty Award)을 수상했다.
윤경식
와이브레인 창업자 겸 CEO
한성과학고를 조기졸업하고,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를 최우수 졸업했다. 25세에 카이스트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신경네트워크 조절 관련 두 개의 혁신적인 논문을 <네이처>에 게재하였다.
2013년 2월 와이브레인을 창업하고 뇌기능의 측정과 조절이 동시에 가능한 획기적인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기반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매 치료를 위한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며, 이는 웨어러블 의료기기를 활용한 세계최초의 알츠하이머 원격치료 사례이다.
와이브레인의 기술은 미래 두뇌건강 분야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곧 파킨슨, 자폐증을 비롯한 각종 신경정신질환 치료에 활용될 예정이다. 이 안전하고, 효과적이고, 편리한 치료기술은 뇌과학과 의료산업에 커다란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윤대표는 두뇌기능을 이해하고 신경정신질환을 치료하는 기술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 중이다
헨리 마크램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교 교수 / 유럽연합 휴먼 브레인 프로젝트 & 블루 브레인 프로젝트 디렉터
헨리 마크램은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교(EPFL)의 신경과학 교수다. 그는 브레인 마인드 연구소(Brain Mind Institute)의 설립자이며, 블루 브레인 프로젝트(Blue Brain Project)의 설립자 겸 디렉터이고, 2013년 1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가 10년 동안 10억 유로의 투자를 받을 두 개의 유로 플래그십 프로젝트들 중 하나로 선정한 휴먼 브레인 프로젝트(Human Brain Project)의 수장이다.
이스라엘 바이츠만 연구소에서 뛰어난 성적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그는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풀브라이트 학자(Fulbright scholar), 독일 막스 플랑크 의학연구소의 미네르바 펠로우(Minerva Fellow)로 선정되어 일했다. 1995년 그는 바이츠만 연구소로 복귀하였고 2000년도에 부교수가 되었다. 2002년에 그는 EPFL의 정교수가 되었다.
핵심연구분야는 뇌 신피질의 시냅스 가소성과 신경 초소형회로 연구이다. 그는 연구를 통해 시냅스 가소성과 신경 초소형회로의 구조적, 기능적 조직을 관장하는 근본 원칙들을 발견했다. 그의 다른 핵심적 발견들 중에서는 액체 컴퓨팅(Liquid Computing)의 개념 그리고 자폐증의 강렬한 세계 이론(Intense World Theory of Autism) 등도 포함된다.
2005년 그는 신경과학을 위한 데이터 통합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블루 브레인 프로젝트를 출범하였다.
마크램은 1백여개가 넘는 논문을 발표하였고 그의 논문들은 그의 연구 분야에서는 물론이고 비슷한 연차의 다른 학자들과도 비교했을 때 가장 높은 논문 인용률 중 하나를 기록하고 있다. 2002년부터 그는 스위스가 고성능 컴퓨팅 분야의 세계적인 리더로 자리 잡고, 또한 자극기반연구에 최우선의 중요성을 두겠다는 두 가지의 큰 포부를 품고 연구를 진두지휘하고 있다. 이 두 분야들은 현재 스위스 정부가 선언한 3대 최우선 국립 연구 분야 중 두 개이기도 하다. 마크램은 또한 논문 심사와 발행의 새로운 오픈 플랫폼 모델인 프론티어스(Frontiers: frontiersin.org)의 공동 창립자이다.
http://www.sdf.or.kr/2014
http://www.sdf.or.kr/2014/kr/frame.jsp?p=mainSessions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rise and fall of cognitive skills (0) | 2015.03.19 |
---|---|
New strategies for anesthesia (0) | 2015.03.19 |
How brain waves guide memory formation (0) | 2015.03.19 |
Epigenomics of Alzheimer’s disease progression (0) | 2015.03.19 |
Decoding sugar addiction (0) | 2015.03.19 |